반응형
250x250
rss 아이콘 이미지
728x90
반응형

인공지능 HBM-PIM 제품화…메모리 반도체에 AI 연산 기능 탑재

기존 제품 대비 성능 2배 향상…ISSCC에서 논문 공개

삼성전자[005930]가 세계 최초로 기존 메모리 반도체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지능형 메모리 반도체 기술을 개발했다.

데이터 저장 공간으로만 여겼던 메모리 반도체에 인공지능(AI) 엔진을 탑재해 메모리가 저장뿐만 아니라 일부 연산까지 가능하게 한 기술이다.

삼성전자는 세계 최초로 메모리 반도체와 인공지능 프로세서를 하나로 결합한 HBM-PIM(Processing-in-Memory) 제품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PIM은 메모리 내부에 연산 작업에 필요한 프로세서 기능을 더한 차세대 신개념 융합기술을 말한다.

삼성전자는 PIM 기술을 활용해 슈퍼컴퓨터(HPC)와 AI 등 초고속 데이터 분석에 활용되는 HBM2(High Bandwidth Memory) 아쿠아볼트(Aquabolt)에 인공지능 엔진을 탑재한 HBM-PIM을 개발했다.

HBM2 아쿠아볼트는 2018년 1월 삼성전자가 양산한 2세대 고대역폭 메모리 반도체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AI 시스템에 HBM-PIM을 탑재할 경우 기존 HBM2를 이용한 시스템 대비 성능은 약 2배 이상 높아지고, 시스템 에너지는 70% 이상 감소된다.

또한 기존 HBM 인터페이스를 그대로 지원해 HBM을 이용하는 고객들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변경 없이 HBM-PIM을 사용해 강력한 AI 가속기(인공지능을 실행하기 위한 전용 하드웨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최근 인공지능의 응용 영역이 확대되고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고성능 메모리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커져 왔으나 기존의 메모리로는 '폰 노이만' 구조의 한계를 극복하기 어려웠다.

폰 노이만 구조는 대부분의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중앙처리장치(CPU)가 메모리로부터 명령어를 불러오고 실행하며 그 결과를 다시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작업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CPU와 메모리간 주고받는 데이터가 많아지면 작업처리가 지연되는 현상이 생긴다.

삼성전자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메모리 내부의 각 뱅크(주기억장치를 구성할 때의 최소 논리적 단위)에 인공지능 엔진을 장착하고 병렬처리를 극대화해 성능을 높였다.

또한 HBM-PIM은 메모리 내부에서 연산 처리가 가능해 CPU와 메모리간 데이터 이동이 줄어들어 AI 가속기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삼성전자는 이 기술을 D램 공정에 접목해 HBM-PIM을 제품화하는데 성공했으며, 최근 반도체 분야 세계 최고권위 학회인 ISSCC에서 관련 논문을 공개했다.

삼성전자 메모리 사업부 상품기획팀장 박광일 전무는 "HBM-PIM은 AI 가속기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업계 최초의 인공지능 맞춤형 PIM 솔루션"이라며 "삼성전자는 고객사들과 지속적으로 협력을 강화해 PIM 에코 시스템을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0. 美텍사스 전력부족 사태에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셧다운

오스틴市 전력회사, "완전한 셧다운" 명령

삼성·인피니온 등 반도체 회사 대상

반도체 공정 한번 멈추면 막대한 손실 발생

삼성전자 오스틴 공장

미국 텍사스주에 불어닥친 북극 한파 여파로 전력 부족 사태가 빚어지면서 텍사스주 오스틴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이 셧다운된 것으로 파악됐다.

16일(현지시간) 오스틴시 일간이 `오스틴 스테이츠먼` 등 현지 매체 보도에 따르면 오스틴시 소유의 전력회사인 오스틴 에너지는 최근 혹한에 따른 대규모 정전과 전력부족 사태로 말미암아 지역 대기업들의 공장 가동을 중단할 것을 명령했다.

한파로 인해 전열기 등 난방을 위한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불가피하게 이 같은 명령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셧다운 명령이 내려진 업체는 현지 삼성전자와 NXP, 인피니온 등 막대한 전력을 소모하는 반도체 관련 업체들로 알려졌다.

삼성전자 오스틴 반도체 공장의 셧다운 시점은 이날 오후 4시로 파악되고 있으며, 현지 전력부족을 이유로 셧다운 명령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전해진다.

아울러 트위터 등 소셜미디어에서는 오스틴 삼성전자 공장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이 "추후 통보가 있을 때까지 생산라인이 중단될 것"이라는 통보를 받았다는 글이 올라오고 있다.

초미세 공정을 기반으로 하는 반도체 공정은 일시적인 지진이나 정전 발생으로도 수 십억원의 물적 피해를 입는 구조여서 이번 셧다운 사태에 따른 삼성전자의 대응 여부가 주목된다.

0. 서학개미 6000억 매수 中드론택시 60% 폭락…가짜 계약 파문

`이항` 가짜 계약 파문에 주가 반토막

중국 도심항공운송수단(UAM) 기술 기업으로 주목받았던 나스닥 상장사 `이항 홀딩스(EHang Holdings Ltd)`가 가짜 계약 파문에 60% 넘게 급락했다. 올해에만 서학개미들이 이항 주식을 1000억원 넘게 순매수해 적지 않은 피해가 예상된다.

16일(현지시간) 미국 나스닥 시장에서 이항은 전 거래일 대비 77.79달러(62.69%) 급락한 46.3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항은 자율주행 드론택시 개발로 주목을 받으면서 최근 주가가 고공행진을 해온 업체다. 이항의 주가는 작년 12월 초 13.62달러에서 이달 12일 124.09달러로 두달여 만에 9.1배 수준으로 급등했다.

이항에 대한 부정적인 리포트가 나오면서 주가가 급락세를 맞았다. 이날 투자정보 제공업체 울프팩리서치는 `추락하고 불타오를 운명인 주식(A Stock Promotion Destined to Crash and Burn)`이라는 제목의 리포트를 발간했다. 울프팩리서치는 `중국판 넷플릭스`로 불렸던 `아이치이`가 수익과 가입자 숫자를 부풀리는 식으로 대규모 회계 부정을 저질렀다고 폭로했던 이력이 있는 기관이다.

울프팩리서치는 "이항이 주 고객사로 두고 있는 중국 상하이 쿤샹(Shanghai Kunxiang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이라는 업체는 급조된 가짜 기업"이라면서 "쿤샹의 웹사이트에 있는 3개의 주소 중 1개는 쿤샹과 관련없는 호텔이었고 다른 한 곳은 11층 건물의 13층 주소였으며, 마지막 한 곳은 사무실에 단 한 명의 직원만 있었다"고 설명했다.

쿤샹은 이항과 5000억원에 달하는 계약을 맺었다고 전해진 기업이다. 다만 울프팩리서치는 쿤샹이 계약을 맺기 불과 9일 전 설립됐다고 지적했다. 해당 계약은 가짜라는 결론이다.

울프팩리서치는 또 "이항의 본사를 찾아가 본 결과 최소한의 보안 시설도 갖추지 않았으며 드론택시 생산을 위한 기초적인 조립라인도 없었다"며 "이항은 투자 가치를 부풀리는 데 더 관심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꼬집었다. 실제 이항은 상장 14개월 만에 50개의 보도자료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이항 주식에 한국 투자자 역시 크게 베팅했다는 사실이다. 한국예탁결제원 세이브로에 따르면 올 들어 한국 투자자들은 이항의 주식을 9878만달러(1094억원)어치 순매수했다. 서학개미가 투자한 종목 가운데 순매수 14위를 기록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보관된 이항의 주식보관금액도 5억5034만달러로(6098억원) 미국 주식 가운데 보관 규모 9위에 달한다. 국내 투자자들의 손실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0. 5만달러 찍은 비트코인, 고공행진 계속될까

가상화폐 비트코인이 16일 사상 최초로 5만 달러(약 5510만원)를 돌파했다. 블룸버그통신과 로이터에 따르면 이날 뉴욕과 런던에서 비트코인 가격은 5만 달러를 넘어섰다. 가상화폐는 거래소 단위로 거래가 이뤄져 가격이 각각 다르지만 세계 각국에서 줄줄이 5만 달러를 돌파하며 새역사를 썼다. 지난달 4만달러를 돌파한 뒤 급락해 3만달러 선이 붕괴된지 약 한 달만이다.

이같이 무서운 상승세는 최근 기업과 금융회사들이 비트코인에 투자하거나 상품거래 수단으로 인정하기 시작한 영향이 크다. 높은 변동성과 제한적인 사용처로 화폐로 인정받지 못했던 비트코인이 금융 주류로 빠르게 편입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비트코인 급등에 불을 붙인 이는 전기차 업체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다. 그는 최근 15억 달러(약 1조6천530억원) 어치 비트코인을 구매했다고 밝혔다. 또한 테슬라를 살때 비트코인 결제를 허용하겠다는 의사도 내비쳤다. 미국 나스닥 상장사인 IT 컨설팅기업 마이크로스트레티지는 보유한 현금성 자산의 80%를 비트코인에 투자해 기업 가치가 상승하고 있다.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은행인 뉴욕멜론은행(BNY 멜론)은 가상화폐의 보유·이전·발행 업무를 할 예정이라고 밝혔고, 월가의 주요 은행도 가상화폐 거래를 허용해달라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캐나다에서는 최근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 ETF)가 처음으로 당국의 승인을 받기도 했다.

사상 최초로 5만 달러 고지에 올라서며 상승랠리가 계속될 것인지에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2017년말 2만 달러에 육박하다가 다음해 3000달러 대로 급전직하 했고 다시 5만 달러까지 치솟은, 롤러코스터 같은 변동곡선을 보면 전망은 쉽지많은 않다.

시장의 예측은 홍해 갈라지듯 낙관과 비관으로 나뉜다. 또 다시 `버블 논쟁`이 불붙고 있다. 옹호론자들은 "새로운 상승랠리", 회의론자들은 "최악의 거품"이라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1코인 가격이 10만달러를 넘어설 수도 있다고 보도했다. 17세기 튤립 거품에 빗대 비트코인을 `디지털 튤립`이라고 불렀던 누리엘 루비니 미국 뉴욕대 교수는 역시 비관적 전망을 쏟아냈다. 루비니 교수는 월스트리트 저널에서 "많은 사람이 터무니없는 가격에 가상화폐들을 사고 있다"면서 "돈을 날리고 회복하지 못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비관론자들은 2018년 폭락사태를 잊지말아야 한다며 경계론을 펴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낙관론자들은 개미투자자들 홀로 가격을 견인했던 2017년 장세와는 다르다고 주장하고 있다. 기업과 금융회사 등 기관투자자들이 가세하면서 개미와 기관이 동시에 끄는 쌍끌이 장세라는 것이다.

다시 시작된 비트코인 강세가 `광풍`인지, 정상적인 `상승랠리` 인지는 지켜볼 일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