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50x250
rss 아이콘 이미지

Search

728x90
반응형

증시 조정시 젊은층만 타격" 우려도

젊은층은 증시로 '머니무브' 하지만

전통 자산가들은 자금 '파킹'하며 관망

"부자들 투자 패턴 참고해 리스크 대비해야"

새해들어 증시가 유래없는 오름세를 나타나면서 투자 흐름이 세대별로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2040’ 세대는 은행 예·적금을 깨고 전세금 담보 대출까지 끌어 직접 투자에 나선 반면, 중장년 자산가들은 관망세를 이어가고 있다. 연령대에 따라 투자행태가 ‘머니 무브’와 ‘머니 파킹’(잠시 주차하듯 맡겨 놓는 것)으로 나뉜 셈이다. 금융권 일각에선 증시가 조정국면에 진입하면 자산 규모가 적은 청년층이 더 큰 타격을 받게 되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예적금 해약해 증시로 간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 국민 하나 우리 등 4대 은행의 지난 11일 정기예금 잔액은 지난해말(12월31일)에 비해 1조3279억원이 빠진 497조6498억원을 기록했다. 새로 예금에 가입한 사람보다 만기에 돈을 찾거나, 해지한 사람이 더 많았다는 의미다. 한 대형은행에선 8일 하루만에 예금 5000억원이 빠지기도 했다. 이 은행 관계자는 “올들어 증시가 20% 가량 뛴 현상 말고는 설명할 방법이 없다고 했다.

4대 은행의 적금잔액도 11일 36조966억원을 기록해 4일(36조1640억원)에 비해 675억원 줄었다. 통상 1월 적금 가입자가 늘어나는 것과 늘어나는 것과는 정반대 모습이다. 부동자금을 나타내는 요구불예금 잔액은 지난해 말에 비해 19조5870억원이 감소했다.

빠진 자금 대부분이 증시로 빨려들어갔고, 이런 현상은 ‘2040’세대가 주도하고 있다는 게 은행들의 설명이다. 서울 여의도나 강남 등 직장인 주거래 고객이 많은 지점에선 예적금 해지 건을 처리하느라 업무가 마비될 정도다. 대형은행 여의도 지점 관계자는 “점심시간을 틈타 창구에 방문해 예금을 찾고 대출도 일으켜 증권계좌로 이체하는 사례가 많다”며 “은행원조차 주식에 투자하는 데 말릴 수도 없는 노릇”이라고 설명했다.


증시격언에 산이높으면 골이 깊다는 얘기가 있다.

지금 시점이 바로 그 격언을 생각하게 하는 때가 아닌가 한다.

작년 11월 12월에 급격히 오르더니

새해들어 이제 열흘밖에 않되었지만

오늘날짜로 코스피가 6%가 넘게 상승했다

특히 삼성전자, 현대차등 대형주들의 상승이 가파른데

2030세대들의 묻지마 투자는 조정시에 낭패를 가져올수 있기에

살얼음판을 걷는 마음으로 증시를 마주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