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50x250
rss 아이콘 이미지
728x90
반응형

최근 환율이 급격히 하락중이다.

달러가치는 하락하고, 원화가치가 계속 상승 중이다.

오늘자 환율이 1100원까지 내려왔다.

이렇게 되면 수입기업엔 호재가 되지만

수출기업엔 악재일 수 밖에 없다.

수출위주의 우리경제가 안좋은 상황으로

가고 있다.

해외주식을 투자하는 개인투자자들도

환율하락과 함께 환손실이 확대되고 있다.

20년 3월23일

1,273원이던것이 1,100원이 되었으니

약 16% 하락했다.

 

 

환율이 이처럼 하락하는 이유는 무엇이

있을까 ?

1.첫번째 이유는 한국은행의 외환보유액을

보면 알수 있다.

지난달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이

사상 최대이다.

4363억 7722만 달러를 보유하고 있다.

결국 달러를 많이 갖고 있으니까

달러가치가 하락하고 원화가치가 상승한다고 보면 된다.

그런데 수출입이 원활하지 않은

코로나 위기를 겪고 있는 시기에

수입은 줄고, 수출은 그대로 라고 보면

맞을 것이다.

 

 

한국은행 자료 참조

 

 

한국은행 자료참조

2. 두번째 이유는 중국의 위안화에서

찾을수 있을 것이다.

중국과의 교역량이 많은 우리나라의 경우

중국의 위안화에 연동되기 때문이다.

 

 

위의 자료에서 보듯이

금년 5월만 해도 위안화가 달러당 7위안을

넘는다고

7빠라는 말도 있었는데

지금은 6.55위안, 약 9.3% 하락 중이다.

3.이외에도 미국에서 코로나로 실직자가

늘어나면서

양적완화로 달러를 계속 발행하고 있어

달러 가치가 하락하고 있다.

달러지수가 지속 하락하고 있기도 하다.

 

 

위에서 보듯이

지난 3/19일 103.5 였는데

오늘 91.0 까지 내려왔다.

달러지수(달러인덱스) 하락이 우리 원화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

달러지수(인덱스) 가 무엇인가.

달러가 어느정도 강세를 보이는지

보여주는 대표지수이다.

기준이 되는 통화는 유로화(유럽), 엔화(일본), 파운드화(영국), 스위스 프랑

크로네(스웨덴), 캐나다달러...이렇게 6개 화폐기준이다.

달러대비 적용비율은 자료를 참조하기 바란다.

 

 

1973년 3월을 기준점으로 100으로

정하였으며

100보다 높으면 달러가치가 높다는 것이고

100 보다 낮으면 달러가치가 낮다는 것이다.

지금은 91이니까 달러 가치가 낮은 상태라고 보면 된다.

즉 달러인덱스가 높으면 환율 상승기조라고

보면 되고

지금처럼 낮으면 환율 하락기조라고

보면 된다.

결국 6개국 통화대비 높낮이를

표현하는 것이다.

우리는 해외투자시

이처럼 달러가치가 하락하며 환손실을

보이고 있지만

분단국가의 현실때문에

언제 급격히 환율이 상승할지 알수 없다.

그러니까 해외투자시

환손실을 넘는 이익을 주는 종목을 투자하여

손실을 넘는 이익을 얻으면

된다.

https://youtu.be/_PtIFwp19v8

 

 

달러는 기축통화이다.

위기시에 안전통화라는 뜻이다.

달러를 보유하면 마음이 편안한 이유이다.

오늘은 외환보유액 증가와 달러가치 하락

대응에 알아봤다.

https://youtu.be/eFKrOyd4QhA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금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달러의 무제한 양적완화시 안전자산인 금과 은은 계속 오를 것으로 판단된다.

달러인덱스가 93까지 하락하며 달러 패권이 흔들리고 있다.

그리고 JD부자연구소의 조던 매뉴얼이 추가되며, 금 투자 추천...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의 인터뷰시

미국 달러화의 종잇조각으로 추락할 수 있다고 예측했으며

금과 은이 가치있는 신의 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달러인덱스와 비트코인 가격 그래프에서 보듯이

달러 하락은 금과 은 ,비트코인의 상승이 이루어진다.

달러 약세요인으로는

1.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

2. 미국의 글로벌 리더십 지위 약화

3. EU의 경제회복 기금 타결

4. 중국의 위안화 국제화 추진 가속화

5. 금.비트코인등 대체재 가격 급등

금투자 방법 6가지와 각각의 장단점 분석을 통해

금 투자 방법을 찾아보자.

국내상장 금 투자 ETF는 환헷지 상품과 헷갈릴 수 있다.

환율 강세를 예상한다면 국내상장 금투자 ETF투자시 유의해야 한다.

미국 달러로 투자하는 금ETF로 GLD를 주목하자

국내상장 금ETF로 코덱스와 타이거를 분석해서 투자해야 한다.

KODEX골드선물 ETF 뒤에 붙은 (H)는 무엇을 뜻하는지 알고 투자하자.

미국시장에 상장된 은 ETF......SLV

국내시장에 상장된 은ETF......KODEX은선물(h)

JD부자연구소의 조던 매뉴얼에 추가된 금투자 방법을 알아보자

금과 채권을 계좌의 포트에 적당한 비율을 포함하자.

youtu.be/Fa9FWswZQKE

728x90
반응형